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차트18

주식 공부 - 추세패턴(Trend)의 이해 05 ※머리어깨형(Head & Shoulder)의 심리적 해석 대표적인 반전 패턴의 하나인 머리어깨형에 대해 살펴보자. 양 어깨와 머리로 구성되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모양은 쌍봉과 대동소이하기에 따로 설명하지는 않겠다. 다만, 이 형태가 생성되는 과정을 대중심리의 관점에서 살펴보려 한다. 기나긴 하락추세↘를 탈피한 주식이 방향탐색 후에 상승 전환하기 시작하면, 웬만해서는 상승 1 파에 매수 하기가 쉽지 않다. 그동안의 하락추세↘에 길들여진 심리는 비관론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이를 반영하여 짧은 상승파동이 마무리되고 반락국면이 찾아오게 된다. 이러한 조정을 거친후에 두번째의 상승 파동이 나타나게 되면, 이제는 발 담그는 수준에서 조심스럽게 매수에 참여를 하게 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상승에 대한 확신이 .. 2023. 12. 17.
주식 공부 - 추세패턴(Trend)의 이해 04 ※평행추세와 힘의 균형 평행추세에 대해 알아보자. 이는 아래위로 일정한 가격대에서 움직이는 경우를 뜻한다. 즉, 직전 고점을 넘지도 못하고 이전 저점을 붕괴시키지도 않으면서 상당기간 횡보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렇게 제한적인 움직임이 나타나는 이유를 살펴보자. 상승하던 주가는 바로 직전 고점에서 저항을 받게 된다. 왜냐하면, 전고점은 성급하게 진입한 하수들이 손해를 보고 있는 지점이기 때문에 주가가 이 근처에 이르게 되면 본전매물이 나오게 된다. 이 매도 물량을 극복하게 되면 상승추세↗는 연장이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고점돌파가 실패를 하게되면 이때부터는 쌍봉 패턴으로의 진행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완연한 하락추세↘로 바뀌는지의 여부는 이전 저점의 지지 여부로써 1 차 판단해 볼 수 있다. 그런.. 2023. 12. 17.
주식 공부 - 추세패턴(Trend)의 이해 03 ※돌파는 상승의 연장, 붕괴는 하락의 심화 상승추세↗의 특징은 크게 오르고 조정은 약하다는 것. 이러한 반락의 폭을 가늠해 본다면 대략 그 상승 파동의 절반이나 혹은 30%정도의 수준에서 마무리가 된다. 이것을 뒤집어 생각하면 바로 하락추세↘의 특성이 된다. 즉, 기나긴 하락과 짧은 반등, 그리고 반등의 폭은 그 하락 파동의 30% 수준이 한계. 이러한 조정의 강도와 반등의 한계치를 파악하고자 하는 시도가 바로 피보나치 수열을 응용한 것이다. 이는 보조지표 부분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큰폭의 상승과 약한 조정에 의해서 발생하는 모양이 바로 N자형 상승 파동이다. 즉, 계속해서 저점은 높아지고 이전 고점은 돌파해 나가면서 꾸준하게 상승세를 유지하는 형태를 말한다. 이 N파동의 이유는 차익실현 때문이다. 다시.. 2023. 12. 10.
주식 공부 - 추세패턴(Trend)의 이해 02 ※M형 이중천정(Double Top) 쌍봉 (M형 이중천정) 형태에 대해 알아보자. 이런 모양이 실전에서 가장 많이 밭생하는 패턴이다. 즉, 전고점의 저항에 걸려 상승추세↗를 마무리하고 나락으로 떨어지는 모양새. 이 더블 탑에 심리적인 해석을 곁들여 보자. 직전 고점의 저항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에너지가 필요 하다. 왜냐하면, 이 전고점은 많은 초보자들이 추격매수에 가담한 지점이고, 동시에 주가가 빠지는데도 탈출하지 못하고 손해를 보고 있는 곳이다. 따라서 이러한 저항대 근처까지 주가가 이르게 되면 본전매물이 출회된다. 이 쏟아지는 물량을 전부 소화시킬 수 있어야만 또 한차례의 상승파동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본전매물을 잡아먹을 수 있는 매수세가 부족하게 되면 상대적인 매도압력이 거세어진다... 2023. 12.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