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차트18 주식 공부 - 차트(Chart), 캔들(Candle)의 이해 008 ※두 개가 맞물린 연결 캔들의 상호작용 II: 다음으로 장악형 연결 캔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이 캔들 패턴은 말 그대로 전날의 캔들을 완전히 장악했다는 그런 뜻입니다. 이 중에서 상승▲장악형을 먼저 보겠습니다. 이런 캔들 패턴이 저점에서 발생하게 되면 강력한 매수신호로 일반적으로 인식을 합니다. 관통형 캔들에서 한 단계 더 진행이 되어서, 첫째 날 발생한 음봉의 매도압력을 완전하게 극복한 패턴입니다. 쏟아지는 매물을 모조리 잡아먹고 우뚝 선 모양이지요. 그래서 아주 강력한 매수신호로 판단을 하는 것입니다. 심리적으로 해석을 해보면, 첫째 날에 발생한 음봉의 매도압력으로 인해서 두 번째 날에도 시초가격이 뚝 떨어져서 아주 낮게 시작을 했습니다. 그러면 매도를 하려고 준비하고 있던 투자자들이 이익실현이나 손절.. 2023. 2. 25. 주식 공부 - 차트(Chart), 캔들(Candle)의 이해 007 ※두 개가 맞물린 연결 캔들의 상호작용 I: 관통형에 대한 핵심요약입니다. 영어로는 피어싱(Piercing) 라인이라고 하지요. 피어싱의 의미가 뚫는다는 뜻입니다. 여자분들이 귀걸이 할 때 귓불을 뚫는 것을 피어싱이라고 하죠. 그래서 첫째 날 장대음봉인 캔들의 몸통 그 매도압력의 절반 위로 장대양봉인 캔들이 뚫고 올라온 형태입니다. 그렇기에 저점에서 발생하는 관통형은 상승▲반전 신호가 됩니다. 캔들의 원리를 생각해 보시면 해석이 될 것입니다. 첫째 날에 장대음봉인 캔들이 발생을 했습니다. 즉, 압도적인 매도세가 등장하면서 주가를 내리누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매도압력에 의해서 주가는 다음날에도 하락▼해서 시작합니다만, 이후 상당 부분 낙폭을 만회하면서 마감합니다. 즉, 저가 매수세의 유입이 확인되었습.. 2023. 2. 22. 주식 공부 - 차트(Chart), 캔들(Candle)의 이해 006 ※그림자(꼬리)가 긴 장대봉의 해석 IV: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십자형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의 십자형은 모두 균형점의 역할을 하는 캔들이죠. 매수와 매도세력이 힘겨루기를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여기에서 한쪽이 물러서게 되면 그쪽 방향으로 힘의 균형이 쏠리게 됩니다. 그런 전환점의 역할을 담당합니다. 먼저, 긴 십자형을 보게 되면, 요놈은 아래위로 크게 수염이 달렸죠. 이건 뭘까요? 굉장히 심리가 불안정하다는 것입니다. 장중에는 크게 한번 요동을 쳤었지만 마감 때에는 다시 시초가 근처에서 끝난 형태입니다. 그래서 우왕좌왕하면서 방향설정을 못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요런 모양이 나타나게 되면, 이후로 2 ~ 5일간 나타나는 캔들의 흐름을 보면서 적절하게 대응을 하시면 됩니다. 즉, 큰 십자형의 아래꼬리 부.. 2023. 2. 21. 주식 공부 - 차트(Chart), 캔들(Candle)의 이해 004 ※그림자(꼬리)가 긴 장대봉의 해석 II: 역망치형과 유성형에 대해 알아봅시다. 이 두 형태 역시 위치에 따라서 명칭이 다르지요. 각각 저점에서 발생하게 되면 역망치형이고, 고점에서 나타나면 유성형이 됩니다. 또한, 봉의 색깔도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발생위치가 더욱 중요하지요. 그래도 굳이 음봉과 양봉을 구분하자면, 빨간색의 역망치형이 좀 더 강한 매수신호고요, 유성형의 경우 파란색의 음봉이 조금 더 센 매도신호라고 보시면 됩니다. 먼저, 역망치형에 대해 알아보지요. 요놈은 망치형을 뒤집어 놓은 것이죠. 이 형태는 하락▼말기에 발생하면서 상승▲추세로의 모색을 뜻합니다. 약간만 올라도 봉의 해석을 하자면 역망치형은 장중에 한때 크게 상승▲ 했었지만 종가에는 다시 제자리로 돌아왔습니다. 그렇다면 매도.. 2023. 2. 20.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